본문 바로가기

경제칼럼/부동산 칼럼

아파트 매수 수요층

부동산 중 아파트 매물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경된다는 설이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분양가 상한제로 인해 재건축 사업성이 과거대비 약해졌고

그로인해 충분한 신축아파트 물량공급에 대한 우려와 노후 아파트 관리 측면에서 많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즉, 단기간의 공급일 줄어든다는 가정하에 아파트의 실 수요층은 누구일까라는 의문을 던져봤을때,

필자는  

1. 현금보유가 많은 부유층,

2. 청약 가점이 높은 40 ~ 50대 무주택자

3. 30대 후반 이상의 연령 중 현재의 대출조건하에 주택매입이 가능한 자 

으로 분류 지어볼 수 있다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정부에서 발표한 각종 규제와 앞으로 발표예정인 규제들 속에서

규제지역 내 아파트 매입이 가능한 사람들이죠.

어떤 이는 신혼부부 또한 위의 대상에 포함될 수 있지 않느냐 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30대 중반 이하의 신혼부부가 현재의 규제속에 수도권 규제지역(투기, 투기과열, 조정대상 지역)

아파트를 매수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매입이 가능하다면 1번 항목에 포함된 자일 가능성이 높고, 연령대가

30대 후반이상이라면 위의 3번 항목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럼 향후 몇년동안 아파트 가격형성이 어떻게 될것인가를 비교하기 위해선

이러한 수요층의 현황과 향후 아파트 공급량 파악이 필요해 보이는데

통계청이나 관련 기사들을 보면 향후 몇년동안 공급예정일 아파트 총 공급량은

대략적으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실수요층들의 숫자는 과연 얼마나 될 것인가? 라는 부분에서 ...

숫자 파악이 쉽지는 않습니다.


숫자를 파악한다라고 해서 저 분류에 속한 사람 모두 아파트를

매입한다라는 보장도 없습니다.

 

수요와 공급에 의해 시장가격은 조정되겠지만, 정확한 Data 분석을 통한

예측은 힘들지 않을까라는게 필자의 생각이었습니다.

 

<직장인 재테크, 무단전재 배포금지> 

※ 제시하는 투자 관련 의견 등은 오직 개인의 의견이며,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투자손실 및  
손해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의 가치의 상승과 하락을  
보장하지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