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칼럼/부동산 칼럼

2020년 GTX A, GTX B, GTX C 노선 전망

얼마전 전문적으로 부동산에 투자 하고 있는 전문 투자자를 만나서 얘기를 나눴습니다.

투자 관점을 서로 비교해보니 사람 생각하는게 비슷하다는 걸 느끼게 되는 대목이었는데요.

오늘은 서로 얘기했던 내용 중 GTX 노선 관련하여 서로 공통되게 느낀 부분을 나열하겠습니다.

 

1. 경기도의 주거지역은 GTX를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다.

   : 성남, 과전, 용인, 일산 등의 서울 인근의 경기도 주요 도시를 보면 서울로 통근 및 통학하는

    비중이 작게는 10% 에서 많게는 약 30% 정도가 됩니다.(연도에 따라 차이는 발생)

    그만큼 서울로의 교통이 중요한 부분인데 특히 서울은 인구밀도가 전세계적으로 봐도

    매우 높은 지역이라 교통채중이 많은 대중교통보다는 이동시간이 정해져 있는 열차(지하철포함)를

    출 퇴근 시선호하는 편입니다.    

2. 상업지역으로서의 가치는 서울의 주요 거점 역 주변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다.

   : 간단히 말하면 퇴근해서 회사근처에서 회식하고 집에간다는 겁니다. 집근처에 상업시설은 주로

    주말에만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죠.    

3. 서울에 GTX 인근역에 아파트를 매수할 지 경기도 GTX인근역에 매수할 지 고민되면 본인의 생활패턴을 고려하라.

   : 투자 관점의 집 매수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생활패턴 즉 출근 지역, 자주 방문하는 지역 등을 고려하여

    주거 만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는 겁니다.

    (이미 거주하는 집이 있고 추가로 투자하는 경우라면 다양한 복합호재를 검토하는게 적절해 보입니다.)

 

이번에 GTX 개념 도입은 경기도 주거 및 상업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고 이러한 변화를 

미리 예측하여 준비한다면 미래 노후 자금 확보에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 까 생각합니다.

 

 

<직장인 재테크, 무단전재 배포금지> 

※ 제시하는 투자 관련 의견 등은 오직 개인의 의견이며,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투자손실 및  
손해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의 가치의 상승과 하락을  
보장하지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