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부동산 아파트

(4)
수용성(수원 용인 성남) 규제 지역 추가 지정에 대한 국토부 입장(오늘) 오늘자 올라온 "머니투데이" 기사에 대한 국토부에 보도 설명자료입니다. 머니투데이에서는 국토부 " 수용성 풍선효과 아냐... 현재 규제계획 無" 라고 하였으나, 이에 바로 반박하듯 국토부에서는 "정부는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즉각 조치를 취할 계획입니다." 라고 발표 하였습니다. 국토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최근 집값상승이 두드러지고 있는 수원 용인 성남에 필요 시 추가 규제를 가할 수 도 있다는 말인데요. 개인적으로 추측하기에 아직 수원은 팔달구, 광교 외 지역은 규제지역이 아닙니다. 하지만 권선구, 영통구(광교 제외)에 역세권 집값이 최근 많이 상승하였죠? 성남도 수정구, 중원구등 재개발 호재등에 따라 집값이 상승하였습니다. (수지는 말할것도 없죠.) 따라서 계속해서 집값상..
서울 집값, 서울 부동산 1216 대책 이후 9억 이상 아파트에 대해 역대 최고의 대출 규제가 가해지면서 서울 강남 집값 상승이 주춤해졌습니다. 언제까지 주춤할지는 지켜봐야겠죠? 서울시에서 발표한 서울 도시기본계획 2030을 보면 종로, 여의도, 강남을 중심으로 서울을 개발하겠다는 겁니다. 그리고 상암, 상계, 청량리, 구로, 마곡, 잠실, 용산을 부도심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겠다는 건데요. 즉, 도심지역과 부도심 위주로 부동산 개편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고 자족이 가능한(기업체가 많이 들어선) 지역을 중심으로 주변지역과의 교통환경도 개선하겠다는 겁니다. (대표적으로 복합환승센터 건립과 GTX 등이 있겠죠.) 많은 부동산 전문가가 대한민국 서울 수도권 집값을 전망할 때 자주 썼던 표현이 앞으로 "양극화는 점점 심해질 것이다."입니다..
호메실 광교 신분당선 예타 통과 신분당선 광교에서 호메실을 잃는 핵심노선이 오늘(15일) 예타를 통과했습니다. 그동안 BC 문제로 예타 통과에 대한 고배를 마셨던 노선인데요. 드디어 오늘 예타를 통과하였습니다. 신분당선 호메실 광교노선으로 인해 호메실에서 강남까지 약 47분에 도달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기존 버스 이용 시 100분 대비하여 약 53분 가량 단축 되는데요. 2023년 착공예정인 광교 ~ 호메실 구간 앞으로의 행보에 많은 관심이 갑니다. ※ 제시하는 투자 관련 의견 등은 오직 저자의 의견이며, 발생할 수 있는 모든 투자손실 및 손해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또한, 해당 종목의 가치의 상승과 하락을 보장하지도 않습니다
[부자 직장인 VS 가난한 직장인] 앞으로 개발이 가장 핫? 하게 진행될꺼 같은 지역은? GTX A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으로 넘어와서,,, 과연 앞으로 부동산 개발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 질꺼같은 지역은 어디일까라는 주재로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포스팅 예정인 아래의 지역 외에도 다른 지역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또는 다른 여러 전문가? 들이 여러 사이트를 통해 주장한 곳은... GTX!!! 개발 대상 지역 입니다. 그럼 GTX 란 무엇인가? 아시는 분들은 이미 아시겠지만 광역철도망 즉 경기권의 여러 지역과 서울 Big 3 업무지역의 연결하는 철도망을 말하는걸로 알고 있구요 아래의 노선도를 보시면 자세히 알 수 있을꺼란 생각이 드네요 경기도청의 홈페이지에 올라온 추진현황 및 계획에 따르면 "추진현황" · (A노선 삼성∼동탄) 설계 및 공사 중 · (A노선 일산∼삼성)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RFP) ..